본문 바로가기

질문이 있는 과학픽13

📖 [촛불 4탄] 독서로 실험하다 – 패러데이와 프랭클린, 두 독서 실험가의 이야기 초 하나로 시작된 물리 이야기, 그 끝엔 ‘책’이 있었다아이들과 함께 초 하나로 물리를 생각하게 하면서나는 결국 한 권의 책, 『촛불 하나의 과학』으로 돌아왔습니다.그리고 그 책의 저자 마이클 패러데이를 깊이 들여다보다가또 한 명의 과학자, 벤자민 프랭클린과 연결되었습니다.이 둘은 전혀 다른 길을 걸었지만,놀라울 정도로 닮은 출발선 위에 서 있었습니다.👣 가난한 소년, 제본소의 독서광이 되다마이클 패러데이는 영국의 대장장이 집안에서 태어나14살에 제본소 견습생이 되었습니다.그는 책을 묶으면서 그 안의 내용을 읽었고,틈틈이 필기를 하며 혼자 과학을 공부했습니다.벤자민 프랭클린 역시 미국 보스턴의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고,12살에 형의 인쇄소에서 견습공으로 일하게 됩니다.마찬가지로 틈나는 대로 책을 읽으며 .. 2025. 5. 7.
[촛불 3탄] 마이클 패러데이의 실험 철학 – 초 하나로 물리를 설명한 과학자 “패러데이는 왜 초 하나로 강연을 시작했을까?”『촛불 하나의 과학』은 단순한 실험 책이 아닙니다.이 책을 쓴 마이클 패러데이는 실험을 통해 사고하는 사람이었습니다.그에게 ‘과학’이란 손으로 확인하고, 눈으로 관찰하고, 머리로 설명하는 것이었죠.실험은 패러데이의 언어였다패러데이는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가난한 형편 탓에 14살 무렵부터 제본소 견습생으로 일하며 생계를 도왔습니다.그런데 바로 그 제본소에서 우연히 접한 과학 서적들을 읽으며 혼자 힘으로 과학자가 되어갑니다.그가 왕립연구소의 험프리 데이의 강연을 듣고 써낸 노트는지식보다 열정이 앞선 순수한 과학의 기록이었습니다.그리고 그때부터 손으로 해보는 실험, 직접 부딪히는 과학이 그의 신념이 되었습니다.물리는 '눈앞의 현상'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우.. 2025. 5. 7.
📘 촛불 2탄: 고등학생을 위한 그리고 어른을 위한 첫 물리책 – 『촛불 하나의 과학』 [마이클 패러데이] 마이클 패러데이의 고전 『촛불 하나의 과학』. 초 하나로 연소, 대류, 에너지 보존까지 배우는 최고의 물리 입문서!🔍 물리,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물리는 너무 어렵다"는 말을 참 많이 듣습니다.공식을 외워도, 문제를 풀어도, ‘왜 그런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물리는 더 멀게 느껴지죠.그럴 때 저는 한 권의 책을 꺼냅니다.『촛불 하나의 과학』이 책은 초 하나로 물리학의 본질을 풀어낸 고전 중의 고전입니다.저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어린 학생들에게 강연하듯, 촛불 하나로연소, 기체, 열, 대류, 에너지 보존까지 차근차근 이야기합니다.🕯️ 초 하나로 시작하는 물리 이야기아이들과 실험을 하며 던졌던 다섯 가지 질문, 기억하시죠?촛불은 왜 뾰족하게 타는가?불꽃은 몇 가지 색을 띠는가?어떤 색이 가장 뜨거운가?.. 2025. 5. 7.
“물리 공부,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 초와 성냥 하나로 시작하는 진짜 과학 이야기 - 『촛불 하나의 과학』 [마이클 패러데이] 초 하나, 성냥 하나로 시작하는 물리 실험! 말문이 닫힌 아이들도 스스로 질문하고 사고하게 만드는 ‘촛불 수업’의 놀라운 힘.🧭 목차물리 공부, 모두가 멘붕입니다나는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초와 성냥, 물리를 여는 열쇠촛불 실험이 던진 다섯 가지 질문그리고… 한 권의 책이 왔습니다‘촛불 하나의 과학’, 패러데이와 다시 시작하는 물리다음 글 예고: 촛불 2탄, 고등학생을 위한 첫 물리책✍ 본문“선생님, 물리가 너무 어려워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고등학생, 대학생, 학부모님들까지 모두 저에게 묻는 질문입니다.그리고 최근에도, 이제 막 대학에 입학한 제자에게서 같은 전화를 받았습니다.이 친구는 고등학교 내내 물리를 피했지만, 자동차공학과에 진학하며 일반물리학과 실험을 한꺼번에 맞닥뜨린 셈이죠. 당황한 .. 2025. 5. 7.
"한국은 왜 아직 과학 노벨상을 못 받았을까? 일본과의 결정적 차이" 일본은 과학 노벨상을 20개 이상 받았지만 한국은 왜 아직도 받지 못했을까? 기초과학 투자, 교육 철학, 연구 생태계의 차이를 중심으로 그 이유를 분석합니다.🧭 목차일본은 언제부터 과학에 강했을까?기초과학 vs 응용기술: 국가 전략의 차이논문보다 질문이 중요한 나라일본은 실패해도 기다려준다한국이 과학 강국이 되려면?마무리: 빨리 가는 나라 vs 깊이 파는 나라1. 일본은 언제부터 과학에 강했을까?일본은 19세기 메이지유신(1868년)을 통해 서구 문물을 대거 받아들이고, 자발적으로 근대화를 시작했습니다.그들은 영국·독일·프랑스로부터 과학기술자를 초빙해 국가적 차원에서 과학 중심 사회를 설계했죠.반면, 한국은 일제강점기(1910~1945) 동안 과학기술을 주체적으로 발전시킬 기회를 빼앗겼습니다. 해방 이.. 2025. 5. 4.
"밀 때가 더 힘든 이유는? 당길 때보다 힘이 드는 과학적 이유" “같은 무게인데, 왜 밀 때가 더 힘들게 느껴질까?”마트에서 무거운 카트를 당기거나 밀어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경험상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합니다.“밀 때가 훨씬 더 힘들어요. 당기는 게 편하죠.”그런데 이게 단지 기분 탓일까요?아니면 물리적으로도 설명이 가능한 이야기일까요?📌 목차밀 때가 더 힘든 이유 – 힘의 방향과 마찰의 역할당길 때는 왜 조금 더 편하게 느껴질까?“하는 일의 양은 같지 않나요?” – 일(work)의 정의고정 도르래와 ‘느껴지는 힘’의 관계실제 체감은 물리학을 어떻게 비껴가는가결론 – 물리학은 '느낌'과 '계산'을 어떻게 조율할까?1. 밀 때가 더 힘든 이유 – 힘의 방향과 마찰의 증가물체를 밀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약간 아래 방향으로 힘을 줍니다. 즉,수평뿐 아니라 수직 방향 .. 2025.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