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되시-베이컨 수: 수학자와 배우를 잇는 놀라운 연결고리
세상엔 진짜 특별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에르되시 수와 베이컨 수를 동시에 가진 사람들! 수학과 영화계라는 전혀 다른 두 세계를 넘나드는 그들의 인맥 지수를 소개합니다.
에르되시 수 + 베이컨 수 = 에르되시-베이컨 수
이 숫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에르되시 수: 수학자 폴 에르되시와 공동 논문을 몇 단계 거쳐 썼는가
- 베이컨 수: 배우 케빈 베이컨과 몇 단계 거쳐 함께 출연했는가
둘을 더하면 에르되시-베이컨 수. 단순하지만 흥미로운 계산이죠!
실제로 존재하는 인물들
단순한 상상이 아닙니다. 정말로 두 수를 모두 가진 인물들이 존재합니다.
1. 다니엘 클라이트만 (Daniel Kleitman)
- 에르되시 수: 1 (직접 공동 논문)
- 베이컨 수: 2 (영화 『굿 윌 헌팅』 과학 자문 및 단역 출연)
- 총합: 3
MIT 수학자였던 그는 영화 『굿 윌 헌팅』에서 로빈 윌리엄스, 맷 데이먼과 함께 등장했고, 맷 데이먼은 케빈 베이컨과 『미스틱 리버』에서 함께했습니다.
2. 브루스 레즈닉 (Bruce Reznick)
- 에르되시 수: 1 (직접 공동 논문)
- 베이컨 수: 2 (영화 『Pretty Maids All in a Row』 단역 출연)
- 총합: 3
수학자이자 영화 엑스트라 출신. 그는 로디 맥도웰과 함께 출연했고, 맥도웰은 케빈 베이컨과 다른 영화에서 연결됩니다.
3. 리처드 파인만 (Richard Feynman)
- 에르되시 수: 3
- 베이컨 수: 3 (영화 『Anti-Clock』 출연)
- 총합: 6
물리학계의 전설, 파인만도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4. 나탈리 포트만 (Natalie Portman)
- 에르되시 수: 5 (하버드 재학 중 공동 논문 발표)
- 베이컨 수: 2
- 총합: 7
심리학 논문을 학부 시절 발표한 포트만은 학문과 연기를 모두 아우른 대표적 사례입니다.
이 숫자가 의미하는 것
에르되시-베이컨 수는 단지 재미있는 숫자가 아닙니다. 학문과 예술, 지식과 감성의 세계가 의외의 연결성을 통해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서로 다른 분야의 융합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