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 뜨는 날 물고기가 더 잘 낚이는 이유는 단순한 미신이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달의 인력, 조수간만의 차, 생물의 생체 리듬을 바탕으로
물고기 입질과 달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조석 현상과 입질 시간의 연관성까지 정리합니다.
📌 목차
- 입질이 달과 관련 있다고?
- 조석이란 무엇인가?
- 달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 물고기는 왜 조류에 반응할까?
- 생물의 생체 시계와 입질 시간
- 요약 정리 및 다음 예고
✅ 1. 입질이 달과 관련 있다고?
낚시꾼 사이엔 “보름달엔 입질이 좋다”,
혹은 “썰물 땐 고기가 안 문다”는 말이 흔히 오갑니다.
그런데 이 말, 단순한 낚시 미신이 아닙니다.
물고기의 움직임은 달의 인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석’ 현상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달이 바다를 끌어당기면, 물고기도 끌려다닌다?”
과학적으로 맞는 말입니다.
✅ 2. 조석이란 무엇인가?
조석은 달과 태양의 인력 때문에 발생하는
바닷물의 주기적인 상승과 하강을 말합니다.
- 바닷물이 높아지는 현상 → 밀물
- 바닷물이 낮아지는 현상 → 썰물
이 조석은 하루 2번씩 발생하며, 달이 지구에 가까워지는 위치,
그리고 달의 위상(초승달, 보름달 등)에 따라 조수간만의 차가 달라집니다.
조석은 달이 지구에 끼치는 가장 강력한 자연현상 중 하나입니다.
✅ 3. 달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달의 인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면,
바다는 달을 향해 부풀어 오릅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의 흐름(조류)이 바뀌고,
물고기의 먹이 활동도 달라집니다.
- 밀물 전후에는 조류가 빨라지고 산소가 풍부
- 플랑크톤, 작은 생물들이 함께 이동
- 그걸 쫓아가는 물고기들 → 활발한 움직임
👉 달의 위치에 따라 바다의 조류가 변하고,
그 변화가 곧 물고기의 행동 변화를 유발하는 것입니다.
✅ 4. 물고기는 왜 조류에 반응할까?
물고기는 본능적으로 조류가 강할 때
먹이활동을 활발히 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가 풍부한 물이 밀려들어와 호흡에 유리
- 조류에 따라 먹이 생물이 함께 유입
-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자기 위치를 지키려는 에너지 소모 → 공격적 입질 증가
물고기 입질은 물의 흐름, 산소량, 먹이 밀도, 이 3가지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달이 좌우합니다.
✅ 5. 생물의 생체 시계와 입질 시간
조석은 단순한 물리 현상이 아닙니다.
물고기, 게, 조개, 해조류 등 바다 생물은 달의 주기에 맞춰 생체 시계가 맞춰져 있습니다.
- 조간대 생물은 조수간만에 맞춰 열리고 닫힘
- 물고기는 조석 주기에 따라 먹이활동 시간대를 학습
- 입질 시간은 조류가 바뀌는 시점 전후에 집중됩니다
👉 이 생체 리듬은 유전적으로 각인된 것입니다.
따라서 특정 시기(예: 보름 전후, 물때 2물~4물)엔 입질이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 6. 요약 정리 및 다음 예고
과학 개념 | 설명 |
조석 | 달과 태양의 인력으로 인한 바닷물의 상승/하강 |
달의 영향 | 바다의 흐름과 조류를 변화시킴 |
입질 시점 | 물이 움직일 때, 특히 밀물 직전과 썰물 직후 |
생체 리듬 | 바다 생물은 달의 주기에 맞춰 행동 패턴 형성 |
결론 | 입질은 달의 인력과 조석에 의해 과학적으로 결정된다 |
▶️ 다음 편 예고
“루어 색은 왜 물 속에서 달라 보일까?”
→ 빛의 굴절, 흡수, 색 인식 차이까지 연결되는
생활 속 과학 – 낚시편 3편, 곧 공개됩니다.
© 콘텐츠 훈련소 – 과학픽(Science Pick)
'질문이 있는 과학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낚시가 아르키메데스랑 뭔 상관? 찌는 뜨고 바늘은 가라앉는 이유 [부력, 밀도, 아르키메데스 원리 완벽 정리] (생활 속 과학 1편) (0) | 2025.07.03 |
---|---|
비는 왜 오후에 많이 내릴까? — 대류성 강수의 과학 (0) | 2025.06.19 |
정체전선 (장마전선)은 어디로 사라진거야? (0) | 2025.06.16 |
장마가 사라진 이유 : 장마 대신 국지성 호우 (1) | 2025.06.16 |
철이 녹스는 이유가 철과 산소 사이에 작용하는 힘 때문이라고? (0)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