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문이 있는 과학픽

🌕보름달이 뜨면 물고기의 입질이 폭발한다고? - 조석, 달의 인력, 생체 리듬으로 살펴보는 입질의 과학 (생활 속 과학 2편)

by [콘텐츠 마스터] 2025. 7. 4.
반응형

달이 뜨는 날 물고기가 더 잘 낚이는 이유는 단순한 미신이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달의 인력, 조수간만의 차, 생물의 생체 리듬을 바탕으로
물고기 입질과 달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조석 현상과 입질 시간의 연관성까지 정리합니다.


📌 목차

  1. 입질이 달과 관련 있다고?
  2. 조석이란 무엇인가?
  3. 달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4. 물고기는 왜 조류에 반응할까?
  5. 생물의 생체 시계와 입질 시간
  6. 요약 정리 및 다음 예고

✅ 1. 입질이 달과 관련 있다고?

낚시꾼 사이엔 “보름달엔 입질이 좋다”,
혹은 “썰물 땐 고기가 안 문다”는 말이 흔히 오갑니다.

그런데 이 말, 단순한 낚시 미신이 아닙니다.
물고기의 움직임은 달의 인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조석’ 현상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달이 바다를 끌어당기면, 물고기도 끌려다닌다?”
과학적으로 맞는 말입니다.


✅ 2. 조석이란 무엇인가?

조석달과 태양의 인력 때문에 발생하는
바닷물의 주기적인 상승과 하강을 말합니다.

  • 바닷물이 높아지는 현상 → 밀물
  • 바닷물이 낮아지는 현상 → 썰물

이 조석은 하루 2번씩 발생하며, 달이 지구에 가까워지는 위치,
그리고 달의 위상(초승달, 보름달 등)에 따라 조수간만의 차가 달라집니다.

조석은 달이 지구에 끼치는 가장 강력한 자연현상 중 하나입니다.


✅ 3. 달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

달의 인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면,
바다는 달을 향해 부풀어 오릅니다.
이로 인해 바닷물의 흐름(조류)이 바뀌고,
물고기의 먹이 활동도 달라집니다.

  • 밀물 전후에는 조류가 빨라지고 산소가 풍부
  • 플랑크톤, 작은 생물들이 함께 이동
  • 그걸 쫓아가는 물고기들 → 활발한 움직임

👉 달의 위치에 따라 바다의 조류가 변하고,
그 변화가 곧 물고기의 행동 변화를 유발하는 것
입니다.


✅ 4. 물고기는 왜 조류에 반응할까?

물고기는 본능적으로 조류가 강할 때
먹이활동을 활발히 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가 풍부한 물이 밀려들어와 호흡에 유리
  • 조류에 따라 먹이 생물이 함께 유입
  • 조류가 빠른 곳에서는 자기 위치를 지키려는 에너지 소모 → 공격적 입질 증가

물고기 입질은 물의 흐름, 산소량, 먹이 밀도, 이 3가지와 직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달이 좌우합니다.


✅ 5. 생물의 생체 시계와 입질 시간

조석은 단순한 물리 현상이 아닙니다.
물고기, 게, 조개, 해조류 등 바다 생물은 달의 주기에 맞춰 생체 시계가 맞춰져 있습니다.

  • 조간대 생물은 조수간만에 맞춰 열리고 닫힘
  • 물고기는 조석 주기에 따라 먹이활동 시간대를 학습
  • 입질 시간조류가 바뀌는 시점 전후에 집중됩니다

👉 이 생체 리듬은 유전적으로 각인된 것입니다.
따라서 특정 시기(예: 보름 전후, 물때 2물~4물)엔 입질이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 6. 요약 정리 및 다음 예고

과학 개념 설명
조석 달과 태양의 인력으로 인한 바닷물의 상승/하강
달의 영향 바다의 흐름과 조류를 변화시킴
입질 시점 물이 움직일 때, 특히 밀물 직전과 썰물 직후
생체 리듬 바다 생물은 달의 주기에 맞춰 행동 패턴 형성
결론 입질은 달의 인력과 조석에 의해 과학적으로 결정된다
 

▶️ 다음 편 예고

“루어 색은 왜 물 속에서 달라 보일까?”
빛의 굴절, 흡수, 색 인식 차이까지 연결되는
생활 속 과학 – 낚시편 3편, 곧 공개됩니다.


 

#입질시간 #보름달낚시 #조석과낚시 #물고기입질 #달의인력 #조류와생물활동 #낚시와과학 #생활속과학 #과학픽

 

© 콘텐츠 훈련소 – 과학픽(Science 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