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열전구는 왜 밝게 빛날까요?
혹시 ‘전기가 불을 붙여서’ 빛난다고 생각한 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이 글이 딱 맞습니다.
사실 백열전구는 불(연소)이 아니라, 금속이 가열돼 빛을 내는 것이에요.
과학적으로는 ‘열복사(thermal radiation)’ 현상이죠.
🧭 목차
- 백열전구는 연소하지 않는다
- 전기 → 열 → 빛, 어떻게 가능할까?
- 열복사란 무엇인가?
- 백열전구와 LED는 뭐가 다를까?
- 결론 요약: 연소가 아닌 과학적 발광 원리
1. 백열전구는 연소하지 않는다
흔히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이거예요:
“전구가 밝게 빛나는 건 안에서 불꽃이 타기 때문 아닐까?”
❌ NO! 아닙니다. 백열전구는 연소하지 않습니다.
전구 내부는 거의 진공이거나 불활성 기체(예: 아르곤, 질소)가 들어 있어 산소가 없어요.
즉, 타는 것(=연소)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죠.
2. 전기 → 열 → 빛, 어떻게 가능할까?
백열전구의 작동 원리는 아주 간단한 전기적 물리 현상입니다.
- 전구 내부의 필라멘트는 ‘텅스텐’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 여기에 전류가 흐르면 전기저항이 발생합니다.
- 그 저항이 열로 바뀌어, 필라멘트가 2500~3000도까지 가열됩니다.
그리고 이 높은 온도의 텅스텐은...
→ 열 때문에 스스로 빛을 냅니다!
3. 열복사란 무엇인가?
이때 나오는 빛은 불꽃이 아니라 열복사(thermal radiation)입니다.
- 고온의 물체는 스스로 전자기파(=빛)를 방출합니다.
- 이 현상을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라고도 해요.
-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은 그 스펙트럼 중 가시광선 일부입니다.
📌 쉽게 말하면:
빨갛게 달군 쇠붙이가 빛을 내듯,
백열전구의 텅스텐도 그렇게 ‘자기 열로 빛을 내는 것’이에요.
4. 백열전구 vs LED, 뭐가 다를까?
구분 | 백열전구 | LED |
빛의 원리 | 열복사 | 전자 전이 (전기발광) |
내부 구성 | 텅스텐 필라멘트 | 반도체 소자 |
온도 | 매우 높음 (3000도) | 낮음 |
에너지 효율 | 낮음 | 높음 |
수명 | 짧음 | 김 |
백열전구는 열로 빛을 내는 아날로그 방식이고,
LED는 전자 전이로 빛을 내는 디지털 방식이죠.
5. 결론 요약 ✍️
✅ 백열전구는 불이 붙는 게 아니라,
✅ 전류로 금속을 가열해 열복사를 일으키는 것!
✅ 즉, 연소가 아닌 순수한 물리적 현상입니다.
정확한 빛의 원리는 ‘열복사’,
따라서 산소도, 탄소도, 불꽃도 필요 없습니다.
과학적으로 보면 고온의 텅스텐이 빛을 방출하는 ‘미니 태양’ 같은 장치인 셈이죠.
#백열전구 #백열전구빛나는이유 #열복사 #연소아님 #전기저항 #텅스텐 #생활과학 #전구원리 #LED비교 #과학블로그
🔍 백열전구, 단순해 보여도 정말 정교한 물리 현상의 결정체였죠?
혹시 LED의 발광 원리나, 텅스텐이 검게 변하는 이유도 궁금하다면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 백열전구가 검게 변하는 진짜 이유는? – 텅스텐 증발과 승화 원리 정리
🔥 “백열전구 오래 쓰면 검은 그을음이 생긴다? 진실은
백열전구 오래 켜면 유리 안쪽이 왜 검게 변할까?혹시 그을음? 탄소? 전기적 현상?실제로는 ‘텅스텐의 증발’, 정확히는 ‘승화(sublimation)’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백열전구가 검게 변하는
studygoodjob.com
© 콘텐츠 훈련소 - 과학픽(Science Pick) 생활 속에서 만나는 과학,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여기가 정답!
'질문이 있는 과학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열전구 오래 쓰면 검은 그을음이 생긴다? 진실은 (1) | 2025.07.08 |
---|---|
🌕보름달이 뜨면 물고기의 입질이 폭발한다고? - 조석, 달의 인력, 생체 리듬으로 살펴보는 입질의 과학 (생활 속 과학 2편) (0) | 2025.07.04 |
🎣 낚시가 아르키메데스랑 뭔 상관? 찌는 뜨고 바늘은 가라앉는 이유 [부력, 밀도, 아르키메데스 원리 완벽 정리] (생활 속 과학 1편) (0) | 2025.07.03 |
비는 왜 오후에 많이 내릴까? — 대류성 강수의 과학 (0) | 2025.06.19 |
정체전선 (장마전선)은 어디로 사라진거야? (0)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