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패러데이의 고전 『촛불 하나의 과학』. 초 하나로 연소, 대류, 에너지 보존까지 배우는 최고의 물리 입문서!
🔍 물리,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물리는 너무 어렵다"는 말을 참 많이 듣습니다.
공식을 외워도, 문제를 풀어도, ‘왜 그런지’를 이해하지 못하면 물리는 더 멀게 느껴지죠.
그럴 때 저는 한 권의 책을 꺼냅니다.
『촛불 하나의 과학』
이 책은 초 하나로 물리학의 본질을 풀어낸 고전 중의 고전입니다.
저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어린 학생들에게 강연하듯, 촛불 하나로
연소, 기체, 열, 대류, 에너지 보존까지 차근차근 이야기합니다.
🕯️ 초 하나로 시작하는 물리 이야기
아이들과 실험을 하며 던졌던 다섯 가지 질문, 기억하시죠?
- 촛불은 왜 뾰족하게 타는가?
- 불꽃은 몇 가지 색을 띠는가?
- 어떤 색이 가장 뜨거운가?
- 심지 아래는 위와 다르게 왜 타지 않는가?
- 불을 끌 때 어느 심지의 어느 위치를 막아야 할까?
이 질문들은 아이들이 촛불을 보며 직접 그린 그림과 비교하면서 자연스럽게 사고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그 질문들에 하나씩 과학적으로 답해주는 책입니다.
🧪 패러데이, 촛불을 과학의 교과서로 만들다
『촛불 하나의 과학』은 마이클 패러데이가 1860년 영국 왕립연구소에서 어린이 대상 크리스마스 강연으로 진행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 중 하나가 바로 촛불이다. 이 안에는 자연 법칙이 숨어 있다.”
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어집니다:
- 1강: 불꽃-원료-구조-운동-밝기
- 2강: 불꽃의 밝기-연소에 필요한 공기-물의 생성
- 3강: 연소 시 발생하는 물-물의 성질-화합물-수소
- 4강: 양초 속의 수소-연소로 생성되는 물-물을 구성하는 나머지 성분-산소
- 5강: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대기의 성질-그 특성-양초의 기타 연소 생성물-탄산가스-그 특성
- 6강: 탄소 혹은 숯-석탄가스-호흡과 양초 연소의 유사점-결론
복잡한 이론이나 수식은 없습니다.
대신, 눈앞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질문하고, 관찰하고, 설명하며 과학의 사고법을 자연스럽게 전해줍니다.
💡 아이들은 질문했고, 물리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책을 함께 읽고 난 후, 아이들은 달라졌습니다.
"그래서 답은 뭐죠?"가 아니라 "제가 생각해볼게요. 아직 답 얘기하지 마세요"
그 중 한 친구는 이런 말도 했습니다.
"촛불이 과학이에요?"
“촛불 이야기가 물리인지 몰랐어요.”
책에서 직접 실험을 해볼 수는 없기에, 저는 수업 중에 관련 영상을 보여줬습니다.
가장 반응이 좋았던 건 패러데이 강연 중 나오는 손바닥 위에서 산소와 수소 기체로 만든 비눗방울을 터뜨리는 실험이었습니다.
아이들은 박수를 치며 이 책에 푹 빠졌습니다.
🎓 누구에게 추천할까?
- 고등학생: 물리를 진짜 잘하고 싶은 친구들
- 대학생: 이제 문제풀이 물리는 그만!!! 나도 물리를 잘하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대학생
- 성인: 과학에 관심은 가지만 뭘 해야 할지 몰라 오늘도 영상만 보는 어른
이 책은 ‘물리 공부’ 이전에, 물리의 재미를 가르쳐줍니다.
초 하나, 성냥 하나로 세상을 이해하는 시작점.
이보다 더 훌륭한 입문서는 없습니다.
아!! 책에 나오는 실험 관련 영상들을 찾아 보며 읽는 재미도 챙겨 가세요~
📮 다음 편 예고 – 촛불 3탄: 마이클 패러데이와 실험
‘실험’ 없이 과학이 가능한가?
패러데이는 왜 실험을 그토록 중요하게 여겼을까?
다음 편에서는 패러데이라는 과학자 자체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촛불 3탄] 마이클 패러데이의 실험 철학 – 초 하나로 물리를 설명한 과학자
“패러데이는 왜 초 하나로 강연을 시작했을까?”『촛불 하나의 과학』은 단순한 실험 책이 아닙니다.이 책을 쓴 마이클 패러데이는 실험을 통해 사고하는 사람이었습니다.그에게 ‘과학’이
studygoodjob.com
'질문이 있는 과학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촛불 4탄] 독서로 실험하다 – 패러데이와 프랭클린, 두 독서 실험가의 이야기 (0) | 2025.05.07 |
---|---|
[촛불 3탄] 마이클 패러데이의 실험 철학 – 초 하나로 물리를 설명한 과학자 (0) | 2025.05.07 |
“물리 공부,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 초와 성냥 하나로 시작하는 진짜 과학 이야기 - 『촛불 하나의 과학』 [마이클 패러데이] (0) | 2025.05.07 |
"한국은 왜 아직 과학 노벨상을 못 받았을까? 일본과의 결정적 차이" (1) | 2025.05.04 |
"밀 때가 더 힘든 이유는? 당길 때보다 힘이 드는 과학적 이유"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