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하나로 시작된 물리 이야기, 그 끝엔 ‘책’이 있었다
아이들과 함께 초 하나로 물리를 생각하게 하면서
나는 결국 한 권의 책, 『촛불 하나의 과학』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그 책의 저자 마이클 패러데이를 깊이 들여다보다가
또 한 명의 과학자, 벤자민 프랭클린과 연결되었습니다.
이 둘은 전혀 다른 길을 걸었지만,
놀라울 정도로 닮은 출발선 위에 서 있었습니다.
👣 가난한 소년, 제본소의 독서광이 되다
- 마이클 패러데이는 영국의 대장장이 집안에서 태어나
14살에 제본소 견습생이 되었습니다.
그는 책을 묶으면서 그 안의 내용을 읽었고,
틈틈이 필기를 하며 혼자 과학을 공부했습니다. - 벤자민 프랭클린 역시 미국 보스턴의 가난한 집안에서 자랐고,
12살에 형의 인쇄소에서 견습공으로 일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틈나는 대로 책을 읽으며 스스로 배웠고,
결국 자신의 삶을 독서로 설계해갑니다.
둘 다 학교 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지만,
독서라는 실험 도구를 통해 자기만의 길을 개척해갔습니다.
📚 그들은 책을 읽고, 생각을 키웠다
두 사람의 가장 강력한 공통점은 바로 이것입니다:
“독서가 곧 실험이었다.”
책을 그냥 읽은 게 아니라,
책에서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을 삶과 연결하며 사고력을 키운 것입니다.
- 패러데이는 과학 서적을 읽고, 그것을 따라 직접 실험했습니다.
지식은 글이 아니라 손으로 옮겨졌을 때 생명이 붙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죠. - 프랭클린은 철학서와 기술서, 정치 논문까지 다양하게 읽으며
과학자, 발명가, 외교관, 정치가로서 다방면의 활동을 했습니다.
🧪 과학자의 길 vs. 정치가의 길
이들의 삶은 중간부터 완전히 달라집니다.
- 패러데이는 실험에만 몰두합니다.
영국 여왕이 하사한 작위까지도 사양하며,
평생 실험실에서 전자기유도, 전기분해, 촛불 등
수많은 원리를 밝혀냈습니다. - 프랭클린은 점점 넓은 세계로 나아갑니다.
피뢰침을 발명한 과학자에서 미국 독립을 이끈 외교가,
결국에는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정치인이 되었죠.
한 사람은 실험실에 남았고,
한 사람은 세상을 무대로 나아갔습니다.
하지만 그 출발은 같았습니다.
책 한 권이 던진 질문에서 시작된 여정이었죠.
🔍 결국, 사고력을 키운 건 독서였다
패러데이도, 프랭클린도 거대한 시스템의 수혜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질문하는 독자였습니다.
독서는 그들에게 실험이었고, 실험은 그들의 사유였습니다.
✍️ 우리가 배워야 할 점
- 아이에게 책을 읽히지 마세요. 질문하게 하세요.
- 읽고 나서 토론하고, 실험하고, 써보게 하세요.
- 수능을 위해 읽는 책이 아니라, 삶을 생각하기 위한 독서를 지도하세요.
패러데이와 프랭클린이 증명한 것처럼,
독서는 단지 지식의 축적이 아닌, 사고력과 자기 삶을 바꾸는 힘입니다.
📮 촛불 시리즈를 마치며
초 하나로 시작된 실험은 결국
한 권의 책, 그리고 두 명의 인물로 이어졌습니다.
『촛불 하나의 과학』은 물리 입문서이면서,
사유와 삶의 입문서가 될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책입니다.
"밀 때가 더 힘든 이유는? 당길 때보다 힘이 드는 과학적 이유"
“같은 무게인데, 왜 밀 때가 더 힘들게 느껴질까?”마트에서 무거운 카트를 당기거나 밀어본 적 있지 않으신가요?경험상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합니다.“밀 때가 훨씬 더 힘들어요. 당기는 게
studygoodjob.com
📘 수학자들의 삶을 엿보다 – 밤새 읽게 만드는 책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
수학자를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는 세 권의 책.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 『로지코믹스』를 함께 읽고 수학자
studygoodjob.com
'질문이 있는 과학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촛불 3탄] 마이클 패러데이의 실험 철학 – 초 하나로 물리를 설명한 과학자 (0) | 2025.05.07 |
---|---|
📘 촛불 2탄: 고등학생을 위한 그리고 어른을 위한 첫 물리책 – 『촛불 하나의 과학』 [마이클 패러데이] (0) | 2025.05.07 |
“물리 공부,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 초와 성냥 하나로 시작하는 진짜 과학 이야기 - 『촛불 하나의 과학』 [마이클 패러데이] (0) | 2025.05.07 |
"한국은 왜 아직 과학 노벨상을 못 받았을까? 일본과의 결정적 차이" (1) | 2025.05.04 |
"밀 때가 더 힘든 이유는? 당길 때보다 힘이 드는 과학적 이유"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