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로 써먹는 수학픽

📘 수학자들의 삶을 엿보다 – 밤새 읽게 만드는 책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 『로지코믹스』

by [콘텐츠 마스터] 2025. 5. 2.
반응형

수학자를 이해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하는 세 권의 책.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 『로지코믹스』를 함께 읽고 수학자의 삶을 인간적으로 다시 들여다봅니다.

 

📖 수학자라는 세계에 들어가 본 적 있나요?

우연히 청소하다가 손에 잡힌 책 한 권.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
전부터 읽으려고 거실에 꺼내 놓기만 했던 책인데, 이상하게 그날은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습니다.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를 다 읽은 직후였기에, 나는 이미 수학자의 세계 안에 발을 들인 상태였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페트로스 삼촌이라는 수학자 한 사람의 삶에 단숨에 빠져들 수 있었던 것은.


🧩 추리소설처럼 흘러가는 수학 이야기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는 단순한 소설이 아닙니다.
읽다 보면 묘하게 “이게 진짜일까, 허구일까?” 하는 의심이 생깁니다.

처음엔 그냥 골드바흐의 추측에 집착한 한 수학자의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읽을수록 페트로스가 실제로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믿음이 강해집니다.
그도 그럴 것이, 책은 너무나 사실적이고, 등장하는 인물들과 수학적 배경이 모두 진짜니까요.

결국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도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실존 인물이든 아니든, 이 사람의 삶은 정말로 존재했을 법하다.
그리고 그 삶은, 아름답다.”


🤯 수학에 미친 천재들 – 에르되시, 그리고 ‘미친 수학자들’

이 책을 더 흥미롭게 만든 건, 내가 바로 직전에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를 읽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에르되시라는 수학자는 단순한 인물이 아닙니다.
정말 삶 전체가 수학이고, 수학을 위해 자기 자신까지 비워낸 사람입니다.

그 책을 통해 "수학자들의 삶은 비정상적인 게 아니라, 다른 결의 아름다움"이라는 걸 알게 되었고,
그 마음 상태로 『페트로스』의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를 읽으니 몰입은 자연스러웠습니다.

두 책은 같은 이야기를 하지 않지만, 같은 진심을 담고 있습니다.
진리를 향해 기꺼이 외로워지는 사람들의 이야기.


🎨 러셀의 삶, 논리학의 탄생 – 『로지코믹스』까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지코믹스』.
이 책은 만화 형식의 철학/수학서이자,
버트런드 러셀을 주인공으로 한 논리와 광기의 서사입니다.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의 작가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는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수학자란 어떤 인간인가’를 계속 묻습니다. 두 책은 같은 작가가 쓴 책입니다.

그래서『로지코믹스』를 먼저 읽고 나면, 『페트로스』가 정말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처럼 느껴집니다.
그렇기에 더더욱, 끝까지 픽션인지 논픽션인지 헷갈리는 그 스릴이 완벽하게 작동합니다.


🌌 수학자들의 세계는 생각보다 더 인간적이다

  •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는 실제 수학자의 삶을 기록한 다큐 같은 책이고,
  • 『사람들이 미쳤다고 말한 외로운 수학 천재 이야기』는 그 다큐가 소설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 『로지코믹스』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방식으로 수학을 이야기하는 예술 작품입니다.

세 권은 서로 다르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수학자도 결국 한 명의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품고 있습니다.


🧠 나도 그런 순간을 안다

책을 덮고 나서 가장 오래 남은 감정은 이것이었습니다.

“나는 수학자가 아니지만, 나도 그런 순간을 안다.”
“혼자만의 질문을 붙잡고 씨름하다가 끝내 답을 찾지 못했지만,
그 과정에서 어쩐지 조금 성장한 듯한, 그런 순간.”

이 세 권의 책은 그런 순간들을 더 사랑스럽게 기억하게 만들어 줍니다.


 

 

'에르되시 수'란? 수학자들의 인맥지수, 알고 보면 유쾌한 이야기

에르되시 수란? 수학자들의 인맥지수, 알고 보면 유쾌한 이야기에르되시 수(Erdős number)는 무엇인가요? 결론부터 말하면, 수학자들 간의 협업 거리를 숫자로 표현한 수치입니다. 수학자 폴 에르

studygoodjob.com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1_에라토스테네스 –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1에라토스테네스 –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 우물 밖을 본 사람지구의 반지름을 계산했던 고대 과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단순한 수학자가 아니

studygoodjo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