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4 <폴 에르되시 – 수학으로 세상을 연결한 사람>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4폴 에르되시 – 수학으로 세상을 연결한 사람📚 소수를 쫓는 사람들 – 시리즈 목차Ep.01 – 에라토스테네스: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Ep.02 – 메르센: 신의 숫자를 좇은 수도사Ep.03 – 제르맹: 목숨 걸고 수학을 쓴 여인Ep.04 – 에르되시: 수학으로 세상을 연결한 사람 (현재 글)Ep.05 – (예정)🔎 세상에서 가장 많은 논문을 남긴 수학자1900년대 헝가리. 수학 천재 소년은 언제나 숫자와 함께 있었다. 3살에 글을 읽었고, 4살엔 머릿속으로 100에서 숫자를 뺄 줄 알았다. 부모는 그에게 장난감을 사주기보다 수학책을 안겨줬다.하지만 그가 특별했던 건 계산력이 아니었다. 그는 전 세계를 떠돌며, 가방 하나로 살면서, 다른 사람과 함께 문제를 푸는 방식.. 2025. 4. 10.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3 <소피 제르맹 – 목숨 걸고 수학을 쓴 여인> 📚 소수를 쫓는 사람들 – 시리즈 목차 Ep.01 – 에라토스테네스: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 Ep.02 – 메르센: 신의 숫자를 좇은 수도사 Ep.03 – 제르맹: 목숨 걸고 수학을 쓴 여인 (현재 글)Ep.04 – (예정)🔢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3소피 제르맹 – 목숨 걸고 수학을 쓴 여인🔎 여성이라는 이유로 수학자가 될 수 없었던 시대18세기 프랑스. 여성은 수학을 공부할 수 없었다. 책조차 빌릴 수 없었다. 학교는 들어갈 수 없었다. 질문하면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았다.하지만 소피 제르맹은 포기하지 않았다. 낮에는 가족 몰래 아버지의 서재에서 수학책을 읽고, 밤에는 양초 불빛 아래 손으로 적어내렸다. 심지어 자신이 여자라는 이유로 논문을 읽어주지 않는 학자들을 피하려고, 남자의 이름으.. 2025. 4. 10.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2 <메르센 – 신의 숫자를 좇은 수도사> 📚 소수를 쫓는 사람들 – 시리즈 목차 Ep.01 – 에라토스테네스: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Ep.02 – 메르센: 신의 숫자를 좇은 수도사 (현재 위치)Ep.03 – 제르맹 or 에르되시 (예정)🔢 Ep.02 – 메르센: 신의 숫자를 좇은 수도사🔎 소수, 인간이 신을 닮고자 했던 숫자소수는 규칙을 따르지 않습니다. 어떤 수로도 나눠지지 않으며, 자기 자신과 1만을 약수로 가지죠. 이 독립적인 수는 인간이 닮고 싶어했던 ‘질서’와 ‘고요함’의 상징이었습니다.17세기 프랑스의 수도사 마랭 메르센(Marin Mersenne)은 신의 질서를 수에서 찾고자 했습니다. 그가 남긴 이름,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는 지금까지도 인류가 탐색 중인 특별한 숫자입니다.📜 메르센 소수란?Mn = 2n.. 2025. 4. 10.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1_에라토스테네스 –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 🔢 소수를 쫓는 사람들 Ep.01에라토스테네스 – 구조를 본 최초의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 우물 밖을 본 사람지구의 반지름을 계산했던 고대 과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단순한 수학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지구 안에서 지구를 본 사람, 우물 안에서 우물 밖을 통찰한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수의 체를 통해 '소수'를 구조화하여 바라봤다는 사실은, 우리가 지금 다시 들여다볼 이유가 됩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가장 오래된 구조화기원전 3세기. 에라토스테네스는 숫자들 속에서 특별한 무리를 분리해내기 시작했습니다. 2의 배수를 지우고, 3의 배수를 지우고, 5의 배수를 지우면, 이상하게도 뭔가 '남는 숫자들'이 있었습니다.그것은 규칙이 없어서가 아니라, '다른 규칙'을 가진 존재들이었습니다. 바로 소수. 누.. 2025. 4. 8.
AI 시대, 왜 수학인가? 계산은 AI가, 사고는 인간이 AI 시대, 왜 수학인가? 계산은 AI가, 사고는 인간이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빠르게 계산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대입니다. 수학 문제도, 번역도, 글쓰기까지 AI가 대신해주는 지금, 왜 여전히 수학을 공부해야 할까요?우리는 수학을 단순한 연산이나 정답 찾기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나 수학은 계산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사고를 위한 언어입니다. 다시 말해, 수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생각하는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AI가 할 수 없는 영역, 문제 정의와 판단AI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수많은 입력을 처리해 결과를 도출하죠. 그러나 그 데이터를 어떻게 선택하고, 어떤 질문을 던질지는 인간의 몫입니다.여기서 필요한 것이 바로 수학적 사고력입니다. 수학은 다음과 같은 능력을 기릅니다:복잡한 상황.. 2025. 4. 6.
에르되시-베이컨 수: 수학자와 배우를 잇는 놀라운 연결고리 에르되시-베이컨 수: 수학자와 배우를 잇는 놀라운 연결고리세상엔 진짜 특별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에르되시 수와 베이컨 수를 동시에 가진 사람들! 수학과 영화계라는 전혀 다른 두 세계를 넘나드는 그들의 인맥 지수를 소개합니다.에르되시 수 + 베이컨 수 = 에르되시-베이컨 수이 숫자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에르되시 수: 수학자 폴 에르되시와 공동 논문을 몇 단계 거쳐 썼는가베이컨 수: 배우 케빈 베이컨과 몇 단계 거쳐 함께 출연했는가둘을 더하면 에르되시-베이컨 수. 단순하지만 흥미로운 계산이죠!실제로 존재하는 인물들단순한 상상이 아닙니다. 정말로 두 수를 모두 가진 인물들이 존재합니다.1. 다니엘 클라이트만 (Daniel Kleitman)에르되시 수: 1 (직접 공동 논문)베이컨 수: 2 (영화 『굿..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