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6

📚 『정약용과 정조, 조선의 잃어버린 미래』 3편. 정약용이 꿈꾼 사회: 법치, 과학, 평등 그는 조선을 근본적으로 다시 설계하려 한정치 설계자였고, 법 제도 개혁가였고, 실천적 지식인이었습니다.📑 목차정약용은 단순한 유학자가 아니었다법치를 세우다: 『경세유표』백성을 위한 행정: 『목민심서』공정한 재판을 꿈꾸다: 『흠흠신서』정약용이 바라본 미래 조선1️⃣ 정약용은 단순한 유학자가 아니었다정약용을 흔히"유학자", "실학자"라고 부릅니다.하지만 그는 단순히 학문을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그는 조선을 근본적으로 다시 설계하려 한정치 설계자였고, 법 제도 개혁가였고, 실천적 지식인이었습니다.그가 남긴 수백 권의 저서 중,특히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는조선 사회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를 설계한실천 지침서에 가깝습니다.2️⃣ 법치를 세우다: 『경세유표』『경세유표』(經.. 2025. 4. 27.
📚 『정약용과 정조, 조선의 잃어버린 미래』 2편. 정약용과 서학(천주교): 과학, 수학, 철학을 가져오다 초기 조선에서 받아들인 천주교는오늘날 우리가 아는 신앙 중심의 종교라기보다,서양 과학과 철학을 담은 지식 패키지에 가까웠습니다.📑 목차서학, 조선에 온 새로운 문명정약용이 서학에서 본 것: 과학과 이성정약용과 수학, 기하학서양 정치철학과 정약용의 정치개혁 구상서학은 종교였나, 과학이었나?1️⃣ 서학, 조선에 온 새로운 문명18세기 말, 조선에는 "서학(西學)"이라는 이름으로서양의 새로운 지식과 사상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그 중심에는 천주교가 있었습니다.하지만 초기 조선에서 받아들인 천주교는오늘날 우리가 아는 신앙 중심의 종교라기보다,서양 과학과 철학을 담은 지식 패키지에 가까웠습니다.수학 (기하학)천문학역법(달력 만들기)지리학의학그리고 인간 평등 사상서학은 그야말로,'지구는 둥글다', '모든 인간은 .. 2025. 4. 27.
📚 『정약용과 정조, 조선의 잃어버린 미래』 1편. 서론: 정약용과 정조, 조선을 바꾸려 했던 사람들 정조(正祖)와 정약용(丁若鏞).이 두 사람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이름일 뿐만 아니라,우리 역사에서 가장 치열하게 '미래'를 고민했던 인물들입니다.📑 목차왜 지금 정약용과 정조를 다시 주목해야 할까?18세기 말, 조선은 어디로 가고 있었는가?정약용과 정조가 꿈꾼 조선그리고, 우리는 질문해야 한다1️⃣ 왜 지금 정약용과 정조를 다시 주목해야 할까?"우리가 지금 이 사람들을 다시 이야기해야 할까?"아마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그러나 답은 분명합니다.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근대화",그보다 훨씬 앞서 조선을 바꾸려 했던 사람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은,우리가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정조(正祖)와 정약용(丁若鏞).이 두 사람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이름일 뿐만 아.. 2025. 4. 27.
오일러 항등식: e와 π가 만나는 수학의 구조 질문부터 명확히 하자.자연상수 e와 원주율 π, 허수 단위 i, 그리고 수학의 항등원 1과 0.이 수들이 한 줄의 수식 안에 모두 포함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비범하다.하지만 단지 비범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공식이 왜, 어떻게 가능한지 알아야 진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우리는 지금, 수학이 철학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심장부에 다가선다.1. 오일러 공식의 핵심 구조오일러가 발견한 공식 중 핵심은 바로 다음 식이다:eix = cos x + i sin x이 식은 복소수와 삼각함수, 지수함수를 동시에 아우른다. x가 실수일 때, eix는 복소평면 위에서 단위원 위의 점을 그리며 회전한다.즉, 이 수식은 지수함수를 회전으로 해석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2. x = π 를 대입하면?x에 π를 대입하면 공식은 아래.. 2025. 4. 22.
📈자연상수 e는 왜 필요할까? 복리부터 지수함수까지 한 번에 이해하는 수학의 핵심 상수 자연상수 e는 어디서 나왔을까?왜 하필 2.71828... 같은 이상한 수가 중요한 걸까?지수함수의 밑으로 꼭 e여야 하는 이유는?🧭 목차자연상수 e, 왜 자꾸 나오는 걸까?복리 계산에서 시작된 수학적 질문무한히 나눠 붙이는 이자의 극한자연계의 변화는 왜 ex로 표현될까?수학적으로 특별한 함수 ex자연상수 e의 수학적 정의요약: e는 변화의 언어다관련 국가공인 외부 링크함께 읽으면 좋은 글1. 자연상수 e, 왜 자꾸 나오는 걸까? 🔍질문부터 명확히 하자.자연상수 e는 왜 등장했을까? 이 숫자가 정말로 ‘자연스럽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수학책이나 과학 논문을 보면 유독 자주 등장하는 e.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이 수를 느끼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는 자연계의 모든 ‘변화’를 계산.. 2025. 4. 22.
e는 무리수다. 그런데 초월수라고도 한다? 자연상수 e는 무리수다. 그런데 초월수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무리수와 초월수는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e는 왜 이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갖는가?1. 유리수와 무리수는 무엇이 다른가?분수(예: 1/2, 3/4)처럼 쓸 수 있는 수는 모두 유리수(rational number)다.소수 중에서도 소수점이 유한하거나 반복되면 유리수다.반대로, 끝없이 계속되고 반복도 없는 수는 무리수(irrational number)다.대표적인 무리수 예시:√2 = 1.4142135... (무리수)π = 3.14159... (무리수)e = 2.71828... (무리수)2. 초월수는 또 뭘 의미할까?초월수(transcendental number)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수다.어떤 정수 계수 다항식, 예:ax^n + bx^{n-.. 2025. 4. 22.
반응형